본문 바로가기

Spring/Spring 입문

2. Hello World API 만들기

무료이고 UI 자체도 나쁘지 않다고 추천 받았기에 Talend API Tester를 사용하게 되었다.

 

스프링부트 실행 화면

톰캣의 사용 port를 바꾸고 싶다면 resources 폴더 안에 aplication.properties에

server.port= [바꾸고 싶은 번호]를 입력하면 된다.

 

스프링부트에서 요청을 받는 부분을 컨트롤러라고 부른다.

컨트롤러라고 동작하기 위해서는 어노테이션으로 지정해줘야 한다

@RestController

 

package com.example.demo.controller;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GetMapping;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questMapping;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stController;

@RestController // 해당 Class는 REST API 처리하는 컨트롤러
@RequestMapping("/api") // RequestMapping URI를 지정해주는 어노테이션
public class ApiController {

    @GetMapping("/hello") //http://localhost:9090/api/hello
    public String hello(){
        return "hello spring boot!";

    }

}

 

잘 출력됨을 알 수 있다.

 

정리:

기본적으로 Spring에서 컨트롤러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RestController 어노테이션을 붙여주고

주소를 할당하기 위해서는 @RequestMapping을 사용하자.

get 방식으로 api를 열어주려면 @GetMapping 어노테이션을 괄호안에는 주소가 들어간다.

 

'Spring > Spring 입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리소스 삭제 DELETE  (0) 2022.06.30
5. PUT API  (0) 2022.06.30
4. POST API  (0) 2022.06.29
3. GET API  (0) 2022.06.29
1. Spring Boot란?  (0) 2022.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