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 정리
사물 = 객체
행위 = 매서드
속성 = 변수
객체 == 사물 == Object
객체의 3가지 요소
1. 상태 유지(객체의 상태)
객체는 상태 정보를 저장, 유지해야 한다.
이러한 속성은 변수로 정의
속성값이 바뀜으로 인하여 객체의 상태가 변경 될 수 있어야 한다.
2. 기능 제공(객체의 책임)
객체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 부분은 Method의 제공으로 이루어짐.
이 부분은 캡슐화와 연관이 있으며 외부로 부터 직접 속성에 접근하여 변경 하는 것이 아닌 객체가 제공하는 Method로 기능이 제공되어져야 한다.
3. 고유 식별자 제공(객체의 유일성)
각각의 객체는 고유한 식별자를 가져야 한다.
DB에서 Unique key나 Primary key로도 작성이 가능
물리 객체와 개념 객체
물리 객체
실제로 사물이 존재 하고 이를 클래스로 정의한 객체
개념 객체
웹 시스템에서 Service에 해당, business logic을 처리하는 부분을 의미
Business logic에서는 여러 객체를 서로 상호작용 하도록 하며, 객체가 제공하는 오퍼레이션 method를 통하여 객체의 속성을 변경한다.
개발자는 서비스에서 객체의 메소드를 활용하여 여러 가지 조건을 확인하고 객체의 속성을 변경하는 작업이 주된 코딩이 된다.
'JAVA >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메서드, 생성자, 클래스, 필드, 객체, 매개변수(Parameter), 인자(Argument), 리턴 타입 (0) | 2024.11.16 |
---|---|
자바 Generic (0) | 2024.10.25 |
POJO JAVA (1) | 2022.06.23 |
객체지향 4가지 핵심요소와 설계 5원칙(객체지향설계 SOLID) (1) | 2022.06.23 |